|
| |
장영실 (송일국 분) |
기타인물 이 천(김도현) (우송의 20대조고) |
장영실
전체 (18) 세종 (14) 연산군일기 (1) 중종 (2) 명종 (1)
1. 세종실록 28권, 세종 7년 4월 18일 정사 3번째기사 / 석등잔을 준비하라고 평안도 감사에게 전지하다
평안도 감사에게 전지하기를, "석등잔 대·중·소 아울러 30개를 이제 가는 사직(司直) 장영실(蔣英實)이 말하는 것을 들어 준비하라." 하였다.
2. 세종실록 28권, 세종 7년 5월 8일 정축 6번째기사 / 이간의 뇌물을 받은 황현·이승직·한을기 등을 태 20도로 논죄하게 하다
사헌부에서 계하기를, " 이간(李侃)의 뇌물을 받은 사람 중에서 먼저 대사성 황현(黃鉉)과 양주 부사 이승직(李繩直)· 한을기(韓乙奇)· 황득수(黃得粹)· 장영실(蔣英實)· 구중덕(丘仲德)· 조맹발(趙孟發)· 기석손(奇碩孫) 등을 추고(推考)하고 법률에 적용하여 장물에 따라 죄를 정하온즉, 장물이 관(貫) 이하이므로 태(笞) 20도에 해당합니다." 하니, 명하기···
3.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4월 27일 병신 10번째기사 / 의금부에서 이징과 이군실 등의 처벌을 건의하다
···러 중국 사람을 손으로 때렸사오니, 청하건대 수범(首犯)과 종범(從犯)을 분간하여 징은 형장 1백 대에 처하고, 군실과 종사관(從事官) 구경부(仇敬夫)· 박세달(朴世達)· 장영실(蔣英實)· 신서(辛黍)· 홍노(洪老)· 이득춘(李得春)· 이초(李軺)· 장현(張玄)· 조일신(曹日新) 등은 형장 90대로 하며, 장후(張厚)는 검찰관으로서 사냥을 금하지 아니하였으니,···
4. 세종실록 55권, 세종 14년 1월 4일 갑자 5번째기사 / 벽동군 사람 강경순이 청옥을 진상하니 장영실에게 채굴하게 하다
벽동군(碧潼郡) 사람 강경순(姜敬純)이 푸른 옥[靑玉]을 얻어서 진상하였으므로, 사직(司直) 장영실(蔣英實)을 보내어 채굴(採掘)하고, 사람들이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게 하였다.
5. 세종실록 61권, 세종 15년 9월 16일 을미 3번째기사 / 안숭선에게 명하여 장영실에게 호군의 관직을 더해 줄 것을 의논하게 하다
안숭선에게 명하여 영의정 황희와 좌의정 맹사성에게 의논하기를, " 행 사직(行司直) 장영실(蔣英實)은 그 아비가 본래 원(元)나라의 소주(蘇州)· 항주(杭州) 사람이고, 어미는 기생이었는데, 공교(工巧)한 솜씨가 보통 사람에 뛰어나므로 태종께서 보호하시었고, 나도 역시 이를 아낀다. 임인·계묘년 무렵에 상의원(尙衣院) 별좌(別坐)를 시키고자 하여 이조 판서 허조···
6. 세종실록 65권, 세종 16년 7월 1일 병자 4번째기사 / 새로 만든 누기의 구조와 원리 및 보관 장소와 누기 명의 내용
···하니, 무릇 살대[箭]가 12개이다. 간의(簡儀)와 참고하면 털끝만치도 틀리지 아니한다. 임금이 또 시간을 알리는 자가 차착(差錯)됨을 면치 못할까 염려하여, 호군(護軍) 장영실(蔣英實)에게 명하여 사신 목인(司辰木人)을 만들어 시간에 따라
스스로 알리게 하고,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아니하도록 하였으니, 그 제도 는 아래와 같다. 먼저 각(閣) 3간[楹]을 세우고···
7. 세종실록 65권, 세종 16년 7월 2일 정축 1번째기사 / 지중추원사 이천에게 주자를 만들어 책을 박도록 하다
···심히 번거롭고 많지마는, 이 일도 하지 않을 수 없다." 하고, 이에 이천에게 명하여 그 일을 감독하게 하고, 집현전 직제학 김돈(金墩)· 직전(直殿) 김빈(金鑌)· 호군 장영실(蔣英實)· 첨지사역원사(僉知司譯院事) 이세형(李世衡)· 사인(舍人) 정척(鄭陟)· 주부 이순지(李純之) 등에게 일을 주장하게 맡기고, 경연에 간직한 《효순사실(孝順事實)》· 《위선음즐(···
8. 세종실록 78권, 세종 19년 7월 6일 갑오 2번째기사 / 중국 사람 지원리와 김새 등 7인을 요동으로 풀어 보내다
···工)의 일에 정교(精巧)하여 스스로 말하기를, ‘금은(金銀)을 제련(製鍊)하여 주홍(朱紅)의 가벼운 가루로 하엽록(荷葉綠) 따위의 물건을 만들 수 있다.’ 하였다. 임금이 장영실(蔣英實)에게 명하여 그 기술을 전습(傳習)하게 하였다. 새가 말하기를, ‘돌맹이를 제련하여 금과 은을 만들 수 있다.’ 하여, 곧 그 말에 의거해서 널리 돌을 구해서 보이니, 말하기를,···
9. 세종실록 80권, 세종 20년 1월 7일 임진 3번째기사 / 흠경각이 완성되어 김돈에게 기문을 짓게 하다
흠경각(欽敬閣)이 완성되었다. 이는 대호군 장영실(蔣英實)이 건설한 것이나 그 규모와 제도의 묘함은 모두 임금이 마련한 것이며, 각은 경복궁 침전 곁에 있었다. 임금이 우승지 김돈(金墩)에게 명하여 기문을 짓게 하니, 이에 말하기를, "상고하건대, 제왕이 정사를 하고 사업을 이루는 데에는 반드시 먼저 역수(曆數)를 밝혀서 세상에 절후를 알려 줘야 하는 것이니,···
10. 세종실록 82권, 세종 20년 9월 15일 병신 1번째기사 / 경상도 채방 별감 장영실이 창원·울산·영해·청송·의성 등 읍의 동철과 안강현의 연철을 바치다
경상도 채방 별감(採訪別監) 장영실(蔣英實)이 창원(昌原)· 울산(蔚山)· 영해(寧海)· 청송(靑松)· 의성(義城) 등 각 읍에서 생산된 동철(銅鐵)과 안강현(安康縣) 소산 연철(鉛鐵) 등을 바쳤다.
11. 세종실록 95권, 세종 24년 3월 16일 정축 2번째기사 / 대호군 장영실이 만든 안여가 견실하지 못하여 의금부에 내려 국문하다
대호군(大護軍) 장영실(蔣英實)이 안여(安輿)를 감조(監造)하였는데, 견실하지 못하여 부러지고 허물어졌으므로 의금부에 내려 국문하게 하였다.
12. 세종실록 96권, 세종 24년 4월 25일 을묘 1번째기사 / 사헌부에서 박강·이순로·이하의 불경죄를 징계하기를 청하다
···소서." 안공(鞍工) 말안장을 만드는 공인(工人).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내가 장차 다시 생각해 보겠다." 하고, 이내 승정원에 이르기를, "헌부(憲府)의 소(疏)는 장영실(蔣英實)을 탄핵함이 끝나기를 기다려 다시 의논하여 처리하라." 하였다.
13. 세종실록 96권, 세종 24년 4월 27일 정사 2번째기사 / 장영실에게 2등을, 임효돈과 김효남에게 1등을 감형하고 조순생은 처벌하지 않다
의금부에서 아뢰기를, " 대호군(大護軍) 장영실(蔣英實)이 안여(安輿)를 감독하여
제조함에 삼가 견고하게 만들지 아니하여 부러지고 부서지게 하였으니, 형률에 의거하면 곤장 1백 대를 쳐야 될 것이며, 선공 직장(繕工直長) 임효돈(任孝敦)과 녹사(錄事) 최효남(崔孝男)도 안여(安輿)를 감독하여 제조하면서 장식한 쇠가 또한 견고하게 하지 아니했으며, 대호군(大護軍)···
14. 세종실록 96권, 세종 24년 5월 3일 임술 2번째기사 / 박강·이순로·이하·장영실·임효돈·최효남을 불경죄로 다스리다
임금이 박강(朴薑)· 이순로(李順老)· 이하(李夏)· 장영실(蔣英實)· 임효돈(任孝敦)· 최효남(崔孝男)의 죄를 가지고 황희(黃喜)에게 의논하게 하니, 여러 사람이 말하기를, "이 사람들의 죄는 불경(不敬)에 관계되니, 마땅히 직첩(職牒)을 회수하고 곤장을 집행하여 그 나머지 사람들을 징계해야 될 것입니다." 고 하니, 그대로 따랐다.
15. 연산군일기 60권, 연산 11년 11월 24일 을사 5번째기사 / 보루각을 창덕궁에 옮기고, 간의대는 뜯어버리게 하다
···고도 함. 간의대(簡儀臺) 조선 세종 때에 경회루(慶會樓) 북쪽에 돌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간의(簡儀)를 올려놓고 천문을 관측하던 대. 간의는 세종 17년에 이천(李蕆)·장영실(蔣英實) 등이 만든 천체(天體)의 운행과 현상을 관측하는 기계임.
16. 중종실록 36권, 중종 14년 7월 7일 무술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우리 나라의 악제가 틀리게 되었음을 아뢰고 남악까지 없애기를 청하다
···장악원 제조(掌樂院提調)로서 악기들을 보건대 과연 잘못된 데가 많았습니다. 일찍이 듣건대, 세종께서는 하늘이 낸 예성(睿聖)이셨고 또한 신하 박연(朴堧) 및 악사(樂師) 장영실(蔣英實)이 때에 맞추어 났었기 때문에, 성음(聖音)을 제작함이 헤아릴 수 없이 신묘하여 소리를 들어보면서 고치고 기구를 관찰하면서 바로잡아 조금도 틀리지 않고 그렇게 묘했었는데, 요사이···
17. 중종실록 57권, 중종 21년 5월 11일 계사 2번째기사 / 관상감에서 간의와 혼상 등의 천문 관측 기구를 보수하기를 청하다
···수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또 전의 기구는 어느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을는지 아울러 아룁니다." 간의(簡儀)·혼상(渾象) 간의는 세종 14년(1432) 이천(李蕆)과 장영실(蔣英實) 등이 만든 천문 관측 기구의 하나. 혼상 역시 세종 14년에 이천과 장영실 등이 만든 천문 관측 기구이다. 하니, 전교하기를, "아뢴 대로 하라. 보수한 전의 기구는 내관상감(···
18. 명종실록 9권, 명종 4년 11월 24일 기축 3번째기사 / 동지에 동구와 혜정교에 있는 앙부 일구를 측후하다
···척 5촌 4분이었고, 대규표(大圭表) 그림자 길이는 7장 3척 4촌 1분이었다. 앙부일구(仰釜日晷) 해의 그림자로 시간을 측정하는 일종의 해시계. 세종 16년(1434)에 장영실(蔣英實) 등에게 명하여 만들게 한 것으로 처음에는 흠경각(欽敬閣)에다 설치하였고 또 혜정교(惠政橋)와 종묘(宗廟) 앞에도 설치하였다. 간의대(簡儀臺) 일종의 천문(天文) 관측 기구인 간···
'그룹명 >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폐기흉 수술 막으려면? (0) | 2016.04.09 |
---|---|
로마병정(은찬이할머님)의 블로그 글 "할머님 아버님 기일 모시고 돌아서니 다시 설차례" (0) | 2016.02.08 |
오늘의 나. 내일의 나는 (0) | 2016.01.16 |
[스크랩] 명견만리 (피검사만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 (0) | 2015.12.08 |
[스크랩] ◆<必讀>유품정리 *떠난후에 남겨진 것들 (0) | 2015.08.11 |
댓글